청주공항 국제선 확대… 일본·중국 정기편·부정기편 다양화
청주국제공항의 2025년 하계 운항 스케줄이 확정되며 국제노선이 대폭 확대된다. 충청북도에 따르면 오는 3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청주공항에서 중국·일본·동남아 등으로 향하는 항공편이 크게 늘어난다.
에어로케이는 일본 노선을 공격적으로 확대한다. 현재 오사카·도쿄·삿포로·나고야를 운항 중인 에어로케이는 오는 4월 이바라키 노선을 추가하고, 5월 후쿠오카·오비히로, 6월 기타큐슈·히로시마까지 노선을 확장할 예정이다. 일본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중국 노선도 다변화된다. 기존 옌지·장자제 등 일부 관광 중심 노선에서 벗어나 정저우(진에어·4월), 상하이(이스타·4월), 칭다오(에어로케이·5월) 등이 정기 노선으로 추가된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이용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여기에 올해 3분기부터 우리나라가 중국 관광객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할 예정이어서 청주공항발 중국 노선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런 흐름 속에서 오르도스(에어로케이·79월), 청두(에어로케이·9~11월), 이창(이스타·5~6월, 9~10월), 쿤밍(에어로케이·6~8월), 황산(에어로케이·6~8월), 쉬저우(에어로케이·7~9월), 창저우(에어로케이·7~9월), 난창(에어로케이·7~9월) 등 부정기 노선도 운영이 검토되고 있다.
이 외에도 청주공항을 통한 동남아 노선도 확대된다. 청주울란바토르(에어로케이·티웨이·4월), 청주발리(티웨이·5월), 청주홍콩(홍콩익스프레스·6월) 노선이 신규 취항을 준비 중이다. 특히, 청주발리 노선은 지난해 김해공항과 함께 지방공항 최초로 운수권을 배분받은 바 있다. 다만, 김해공항(에어부산)이 지난해 10월 먼저 취항하면서 첫 취항 타이틀은 놓쳤지만, 티웨이항공은 5월 운항 개시에 맞춰 철저한 준비를 진행 중이다.
충청북도 관계자는 "청주공항의 국제노선을 확대하기 위해 항공사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청주공항의 노선 다변화와 이용객 증가는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을 위한 필수 요소"라고 밝혔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