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경직성 심화…임금 상승과 기업 부담 확대

2025-03-27     윤소리 기자

노동시장에서 입직자와 이직자 수가 모두 감소하는 흐름이 뚜렷해지면서 노동 유연성이 둔화하는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 노동 이동성이 줄어든다는 것은 노동시장의 역동성이 약해지고 있다는 의미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기업의 인력 운용과 경제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노동시장은 활발한 입·이직을 통해 효율성을 유지하지만, 이동이 둔화하면 신규 채용이 위축되고 노동시장에 새롭게 진입하려는 구직자들의 어려움이 커질 수 있다. 노동이동이 제한되면 기업들은 필요할 때 적절한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노동시장 내 미스매칭 현상이 심화될 위험도 있다.

노동 유연성이 낮아지는 가운데, 상용근로자의 임금 상승 폭은 예년보다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기업들의 연봉 인상률이 5~10% 수준까지 오르면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견·중소기업에도 영향을 미쳐 전반적인 임금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임금 상승은 노동자의 실질 소득을 증가시켜 소비 지출을 늘리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부담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투자 계획을 보수적으로 조정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자영업자의 경우 높은 인건비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워 고용을 축소하거나 가격 인상을 통해 대응하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기 둔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며, 전반적인 경제 환경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노동시장 유연성 둔화와 임금 상승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노동 이동성 감소는 경기 침체의 신호일 수 있으며, 기업들이 보수적인 고용 전략을 취하면서 일자리 창출 속도가 둔화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임금 상승은 노동자의 소비 여력을 증가시키고 내수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지만, 기업의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노동시장과 경제의 균형이 무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동시장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기업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생산성과 고용이 모두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노동시장과 임금 변화가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