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약자와 치매, 예방과 돌봄의 사각지대

2025-03-12     윤소리 기자
아이클릭아트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2016년 9.50%에서 2023년 9.25%로 소폭 감소했지만, 경도인지장애 유병률은 같은 기간 22.25%에서 28.42%로 증가했다. 치매로 진단받은 인구 자체는 고령화로 인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치매 환자가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치매 고위험군은 독거노인, 저학력층, 농어촌 거주민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돌봄 공백 속에서 복합적인 위기를 겪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치매 유병률을 보이는 가운데, 특히 85세 이상 여성에서 치매 위험이 두드러진다. 가구 유형별로는 독거 가구의 치매 유병률이 10%로 가장 높다. 가족과 동거하는 경우에 비해 정서적·신체적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교육 수준도 치매 위험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교육 기회가 부족할수록 치매 발생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저학력층에서 그 영향이 두드러진다. 2024년 연구에서도 낮은 정규 교육 수준이 65세 미만에서 발병하는 '젊은 치매'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확인됐다.

농어촌 지역의 치매 유병률은 9.4%로, 도시(5.5%)보다 높다. 의료 접근성이 낮고 사회적 고립이 심한 환경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농어촌 지역에서는 조기 진단과 돌봄 서비스 이용률이 낮으며, 치매안심센터와 같은 공공지원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치매 환자 가족들은 경제적 부담과 돌봄의 어려움을 동시에 겪고 있다. 지역사회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치매 고위험군을 위한 맞춤형 지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023년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한 '맞춤형 사례관리 운영모델'을 2024년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모델은 독거노인, 부부치매 가구 등 돌봄 사각지대에 놓인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복지 서비스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또한, 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대상도 확대할 것을 권고하며, 지원 소득 기준을 기존 중위소득 120%에서 140% 이하로 조정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지원이 실제 취약계층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 농어촌 지역에서는 이동이 어려운 고령층을 위한 방문형 검진 및 돌봄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독거노인의 경우 정기적인 건강 모니터링과 함께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저학력층에 대해서는 치매 예방 교육을 강화하고, 생애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치매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이며, 특히 사회적 약자 계층에게는 더욱 가혹한 현실로 다가온다. 치매 관리의 패러다임을 개인 책임에서 벗어나 사회적 돌봄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