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급증에 가정과 소상공인 부담 커져...무더위로 전기 사용량 역대 최고
지난 8월 한국의 전력 사용량이 역대 여름철 최고 수준으로 급증했다. 특히 일반 가정과 소상공인 등의 전력 사용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속된 무더위로 냉방기 사용량이 급증한 결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전력요금도 크게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가정과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전기요금이 큰 폭으로 상승한 상황에서, 4인 가구가 8월에만 전기 사용량이 지난해 대비 20% 증가하면 전기요금은 70% 이상 올라 11만원대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는 고온으로 인한 에어컨 사용량 증가와,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전기요금이 연속해서 오른 데 따른 것이다.
4일 에너지 업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의 전력거래소 전기 거래량은 5만1000여기가와트시(GWh)로 잠정 집계되며, 이는 역대 여름철 중 가장 많은 거래량이다. 특히 올해 8월은 전년 동월 대비 전기 거래량이 처음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용 전기 사용량은 전체 수요의 55%를 차지하는데 이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됐으나, 일반 가정용 전기 사용량은 예년보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8월 하루 최고 기온이 섭씨 33도 이상인 폭염일은 11일로,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러한 고온의 영향으로 특정 시간대의 최대 전력 수요도 역대 최고 수준을 찍었다. 지난 8월 7일 오후 5시의 최대 전력 수요는 93.615기가와트(GW)로 기록됐다.
전력 요금 체계는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1kWh당 요금이 더욱 높아지는 누진제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더위로 인한 에어컨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전기요금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가 한 달에 427kWh를 사용할 경우, 전년 대비 20% 늘어난 8만530원의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량이 30% 증가한다면, 요금은 무려 13만1340원으로 급증한다.
전기요금의 인상과 무더위로 인한 전력 소비 증가는 가정과 소상공인의 부담을 크게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기요금은 세계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한전은 원가를 못 미치는 가격에 전기를 판매하고 있어 47조원의 누적적자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무더위와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면서, 앞으로의 에너지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