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혹한 대비 사회안전망 강화 시급하다
행정안전부가 강력한 한파와 대설에 대비해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전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이 영하 15도까지 떨어지고, 일부 지역은 최대 40cm의 폭설이 예상된다. 정부의 신속한 상황 파악과 대응 체계 가동은 바람직하나, 이번 한파를 계기로 우리 사회의 재난 대응 역량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면서 한파의 강도도 해마다 거세지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한파가 사회 구성원들에게 균등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노숙인, 독거노인, 야외 근로자들은 혹한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비닐하우스 농민들과 축산농가의 시름도 깊어진다. 결국 한파는 사회적 약자들에게 더 가혹한 시련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발표한 대책의 핵심은 한파 취약계층 보호와 도로 등 기반시설 관리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다. 우선 지자체와 주민센터 차원에서 취약계층에 대한 더욱 세밀한 모니터링이 이뤄져야 한다. 한파 쉼터가 형식적 운영에 그치지 않도록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여야 한다. 특히 에너지 취약계층에 대한 난방비 지원을 현실화하고, 주거환경 개선에도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민간의 역할도 중요하다. 과거 우리 사회가 보여준 이웃 사랑의 정신을 되살려야 할 때다. 홀로 사는 노인을 살피고, 한파 취약계층을 위한 나눔을 실천하는 시민의식이 절실하다. 기업들도 사회공헌 차원에서 한파 취약계층 지원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도시 인프라를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지하 공동구 설치로 도로 결빙을 막고, 한파에 강한 도시 설계를 도입하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재난 대응 시스템도 더욱 스마트화해야 한다.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취약지역과 취약계층을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매서운 한파 앞에서 우리 사회의 연대의식이 시험대에 올랐다. 정부와 지자체의 체계적인 대응,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사회 전반의 따뜻한 관심이 어우러질 때 우리는 이번 혹한도 지혜롭게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