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국 농업 전망... 디지털 혁신·세대교체 가속
'농업전망 2025'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한국 농업 생산액은 60조 100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농업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청년층의 유입이 두드러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영농정착지원사업을 통한 청년 창업농은 2018년 680명에서 2022년 1409명으로 증가했다.
스마트팜 시장의 성장세는 더욱 가파르다. 2022년 기준 스마트팜 시설 규모는 약 5500㏊로, 이는 전체 시설원예 면적의 약 30%를 차지한다. 농촌진흥청은 2025년까지 한국의 스마트팜 시장 규모가 6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기후변화 역시 농업 구조 변화의 핵심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평균 기온 상승으로 작물의 재배 적지가 북상하고 있으며, 사과 재배지가 경북에서 강원도로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아열대 작물 재배 가능 지역이 확대되면서 망고, 파파야 등 새로운 작물의 상업적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해 정부는 2027년까지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목표로 하는 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농지은행을 통한 청년농 대상 농지공급물량 확대, 융자조건 개선, 정부 직접투자 펀드 조성 등이 주요 정책으로 제시됐다.
스마트팜의 기술적 진보도 가속화되고 있다. AI 기반 작물 질병 진단, 생육 환경 최적화, 수확량 예측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IoT 센서를 통한 실시간 환경 제어, 드론을 활용한 정밀 농약 살포 등 첨단 기술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식량 자급 측면에서는 여전히 과제가 남아있다. 쌀 자급률은 100%를 상회하고 있으나, 밀과 콩의 자급률은 각각 1.3%, 28.6%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밀산업 육성법' 시행과 콩 재배면적 확대 정책을 통해 식량 자급률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농업 인구의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도 강화되고 있다. 농지연금과 농지이양은퇴직불제를 통해 고령 농업인의 안정적인 은퇴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청년농업인의 농지 확보를 촉진하고 있다. 농지이양은퇴직불제의 경우 매도 시 지급단가를 330만원/㏊에서 600만원/ha로 인상하고 가입연령을 65~79세로 상향 조정했다.
이처럼 한국 농업은 디지털 전환과 세대교체라는 이중 과제에 직면해 있다. 스마트팜을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청년농 육성과 고령농 은퇴 지원이라는 구조적 과제 해결이 향후 농업 경쟁력 확보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