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엘리트 집단으로까지 번진 마약
수도권 명문대 연합동아리에서 발생한 집단 마약 유통·투약 사건의 1심 선고가 나왔다. 연세대를 나와 KAIST 대학원까지 진학했던 주범이 동아리 회장이라는 지위를 악용해 마약을 유통하고, 여러 명문대 재학생들이 이에 가담했다는 충격적인 실상이 드러났다. 이는 우리 사회의 마약 확산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특히 우려스러운 점은 이들이 '엘리트 집단'이라는 점이다. 흔히 마약 사범이라고 하면 사회 부적응자나 유흥업소 종사자를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그러한 고정관념을 완전히 깨버렸다. 미래 한국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마약의 유혹에 넘어갔다는 사실은 우리 사회의 마약 문제가 이미 심각한 임계점을 넘어섰음을 시사한다.
더구나 이들은 대학 연합동아리라는 네트워크를 통해 마약을 유통했다. 건전한 교류와 성장의 장이 되어야 할 동아리가 마약 유통의 온상이 되었다는 점은 마약 확산 경로가 점차 다양화·지능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단속과 처벌만으로는 마약 확산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이 주범에게 실형을 선고하고 약물중독 재활교육을 명령한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러한 사후 처벌만으로는 부족하다. 마약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마약의 위험성 교육을 강화하고,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처할 수 있는 건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대학가에 만연한 각종 불법 약물에 대한 단속도 강화해야 한다. 마약이 대학 캠퍼스까지 침투했다는 것은 우리 사회의 마약 차단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다. 경찰과 교육당국은 이번 사건을 교훈 삼아 대학가 마약 단속을 더욱 강화하고, 예방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는 지금 마약과의 전면전을 선포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마약은 개인의 삶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건강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다. 이번 명문대 마약 사건이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마약 없는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나서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