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방송의 만남, 차세대 매체 축제 개막

2024-12-17     이승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주관하는 '2024년 차세대 매체 축제'가 12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 호텔나루 엠갤러리에서 열린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이 행사는 '매체 혁신의 새로운 리더, AI'를 주제로 방송·매체 분야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모여 인공지능 기술이 주도하는 산업 혁신의 방향을 논의하고 미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개막식에 앞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방송·매체 업계 및 관련 협단체 주요 인사 20여 명과 간담회를 열어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유 장관은 낡은 규제를 개선하고 방송·미디어 작품 제작과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과기정통부가 지원한 방송 콘텐츠 중 창의성과 완성도가 높은 작품을 선정해 시상하는 '방송작품 대상 시상식'이 진행됐다. 대상은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가 받았으며, 최우수상은 드라마 분야의 '나의 해리에게', 비드라마 분야의 '<빙하>', 공공·공익 우수 프로그램 분야의 '우리는 선생님입니다'와 '산성의 나라, 그 중심에 삼년산성이 있다'가 각각 수상했다.

기조강연에서는 국내외 연사가 인공지능이 매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망했다. 해외 연사로는 큐브릭의 피나르 데미르데그 대표가 참석해 '인공지능 기반 국제 매체 시장의 변화와 성공 사례'를 발표했고, 국내에서는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 대표가 '인공지능 기술이 미디어 제작 워크플로우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같은 날 저녁에는 '방송·매체인의 밤' 행사가 열렸고, 방송·디지털 매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14명에게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이 수여됐다. 이후 교류 만찬이 이어지며 업계 관계자 간 소통과 협력이 이루어졌다.

둘째 날인 18일에는 방송·온라인동영상서비스 작품 투자유치 시범전시와 방송·미디어 미래전략 학술회의가 열렸다. 시범전시에서는 과기정통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 지원한 우수 기획안 10편이 발표됐고, 발표 후 업계 관계자들과의 자율 미팅이 진행됐다. 학술회의는 총 3개 분과로 구성됐으며, 첫 번째 분과에서는 '인공지능, 미디어 산업의 판도라 : 혁신과 변화의 중심기술'을 주제로 인공지능 기반 방송 작품 제작 지원 기술을 논의했다. 두 번째 분과는 '인공지능, 창의성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를 주제로 기술의 활용과 적용 사례를 다뤘다. 마지막 분과에서는 '인공지능 언론의 새로운 지평과 매체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유상임 장관은 이번 행사가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통해 방송 산업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 국내외 업계 간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방송 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승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