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3차 발사 재도전, 밤샘 노력으로 문제 해결하고 기상 조건도 양호
누리호, 한국의 원자력 발사체(KSLV-Ⅱ)가 25일 오후 6시 24분에 성공적인 발사를 목표로 하는 재도전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는 이날 오전에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개최한 브리핑에서 이를 발표했다. 이는 전날 예정된 발사가 헬륨 밸브 제어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중단된 데 이어 오는 재도전이다.
누리호의 발사가 연기된 원인은 발사대를 제어하는 컴퓨터와 헬륨 밸브를 제어하는 컴퓨터 간의 통신 오류로 파악됐다. 항우연 연구진은 장비 점검 후, 헬륨 저장탱크와 지상장비 시스템의 제어 장치에서 명령어가 순차적으로 전달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우연은 연구진이 밤샘 작업을 통해 해당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수정했으며, 이후 여섯 차례의 반복 시험을 통해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기상 조건은 이날의 발사에 유리한 상태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기상 상태가 안정적이며, 강수 확률이 20% 미만이다"라고 말했다.
발사 예정 시간은 여전히 오후 6시 24분이며, 이는 누리호에 탑재된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활동 궤도인 고도 550km의 '여명-황혼 궤도'에 올리는데 최적의 시간대라는 점에서 바뀌지 않았다.
항우연은 오후 3시 40분부터 연료와 산화제 등의 충전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며, 오후 5시 54분에 기립 장치 철수가 완료되면, 발사 10분 전부터는 자동 운용 모드에 진입할 예정이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밤샘 작업으로 연구진의 피로도가 높아졌지만,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상황이 약간 개선될 것"이라며 "항우연 연구진은 모두 문제를 해결하고 가능한 한 빠르게 재도전을 하고 싶어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누리호의 발사 재도전은 한국 항공우주 연구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 프로젝트의 중요한 단계다. 이전의 두 차례 발사 시도에서 문제를 겪은 뒤, 연구진은 발사체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누리호는 한국의 자체 개발된 발사체로서, 이번 성공적인 발사가 확정되면 국제 항공우주 커뮤니티에서 한국의 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이 우주 개발과 탐사, 항공우주 기술에서 더 큰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이 항공우주 분야에서 독립적인 기술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며, 이는 우리 나라의 우주 개발 능력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