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동결 지속… 올해 경제성장률 1.4%로 하향 조정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올해 초부터 인상 흐름이 이어지던 기준금리가 세 번째 동결 결정으로 이어진 것이다. 또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은 이전 예상보다 0.2%포인트 낮아진 1.4%로 전망됐다.
한은의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서울 중구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오다가 2월부터는 동결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유는 이전 인상의 효과를 보다 꼼꼼하게 확인하려는 의도에서였다. 최근 물가 상승률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승률의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5월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달 대비 0.2%포인트 하락한 3.5%로 측정됐다.
미국 기준금리와의 차이가 최대 1.75%포인트로 벌어져 있는 상황이 부담스럽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지난 3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으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곧 마무리될 것이라는 예상이 높아지고 있다.
한은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했는데, 이는 국내 민간소비의 위축과 중국 경제 및 반도체 경기의 침체 때문이라고 분석됐다.
국제적으로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낮춰지고 있다. 무디스, IMF, 아시아개발은행 등 주요 기관들도 모두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기존 예상보다 하향 조정했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3.5%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2월에 예상한 수치와 동일하다.
내년에 대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4%에서 0.1%포인트 낮은 2.3%로 제시됐다. 또한,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기존 2.6%에서 2.4%로 하향 조정됐다.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은 최근의 글로벌 금융 시장 상황,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경제 성장률과 물가 상승률의 변동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와의 차이도 고려하여 더욱 신중한 통화정책 방향을 세우기로 한 것이다.
앞으로 한은은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제 성장률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책 방향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물가 상황 모니터링과 경제동향 분석을 진행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통화정책 방향을 적절하게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