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 청년 사회 복귀, 지역·민간 협력으로 지원 강화
보건복지부가 위기청년 발굴과 지원을 위한 새로운 민관협력 모델을 가동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 민간기업이 협력하는 이번 시범사업은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기존 정책과 달리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이 특징이며, 복지 사각지대 청년 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그간의 정책은 가족돌봄청년에 대한 실태 조사와 기초적 지원에 머물러 있었다. 연간 200만 원의 자기돌봄비 지원, 자조모임 운영 등이 대표적이나, 복지체계 내 이들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기준이 미흡했다. 당사자들조차 자신의 처지를 설명하기 어려워 정책 접근성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4개 광역시도에 청년미래센터를 설치하고,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을 통합 관리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이번 사업의 두드러진 특징은 민간과의 협력 강화다. 배달의민족은 '밥으로 보는 나의 관계유형 테스트' 등 인식개선 캠페인을 통해 고립·은둔 청년 문제를 사회적 의제로 부각시켰다. IBK기업은행은 가족돌봄청년과 고립·은둔 청년에게 연간 500만 원의 생활장학금을 지원한다. 이는 기존의 정부 주도 정책에서 한발 더 나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확대했다는 평가다.
코로나19 이후 고립·은둔 청년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 2021년 기준 전체 고립·은둔 청년은 약 54만 명에 달하며, 이 중 은둔 청년이 24만 명을 차지한다. 취업난과 대인관계 문제, 건강 악화 등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연간 약 6조 7천억 원으로 추산된다. 시범사업은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해 이들을 발굴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향후 민간 부문과의 협력 확대는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다. 청년 친화적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한 정보 전달력 강화,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돌봄 부담 경감 등이 검토되고 있다.
기업의 사회공헌 방식도 진화하고 있다. 단순 재정 지원을 넘어 정책 실행과 창의적 캠페인 기획 등 다각적 참여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강조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사회적 신뢰를 쌓고 청년 문제 해결의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복지 사각지대 위기청년 발굴·지원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는 단순한 복지서비스 제공을 넘어 청년들의 사회 복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취업에 번번히 실패하고 3년째 집에 있었다는 취업준비생 A(36)씨는"예전에는 히키코모리(은둔 청년)을 패배자라 낙인찍고 모두가 업신여기는 듯 해 자신감이 많이 떨어져있었다"며 "정부에서도 지원이 늘고, 은둔청년이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사회적 인식이 늘어 외출할 때 주눅드는 날이 줄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양한 이유로 집 밖을 나서지 못하는 청년들이 작은 도움의 손길이라도 얼른 잡길 바란다"고 전했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