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축산업 변화 분석, 한·육우 사육 감소, 산란계는↑

2024-10-18     윤소리 기자

올 3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 주요 축종의 사육 마릿수가 전년 동기 대비 변동을 보였다. 한·육우는 354만 1천 마리로 5.6% 감소했으며, 이는 암소 도축 증가로 인한 1세 미만 및 1~2세 미만 마릿수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젖소 역시 37만 9천 마리로 1.8% 감소했는데, 송아지 생산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 사육 마릿수는 1118만 2천 마리로 1.9% 감소했으며, 이는 명절 대비 조기 출하에 기인한다. 특히 돼지 도매가격은 재고 부담으로 인해 5134원/kg 내외로 전망되며, 2024년 돼지고기 생산량은 111만 2천 톤으로 예상된다.

반면 산란계는 계란 가격 상승과 병아리 입식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한 8,054만 5천 마리를 기록했다. 육용계는 8573만 7천 마리로 4.6% 감소했는데, 이는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육계 가격 하락이 입식 마릿수 감소로 이어진 결과다.

오리는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소비 증가에 힘입어 924만 1천 마리로 4.9% 증가했다. 이러한 가축 사육두수의 변화는 축산물 수급과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물량 관리와 수입 조절 등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검토 중이다.

축산업 생산액이 농업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38.2%에서 2019년 39.8%로 확대됐으며, 축산농가의 소득은 2010년 4218만 원에서 2019년 7547만 원으로 78.9% 증가했다. 이번 가축동향조사 결과는 향후 축산업 정책 수립과 시장 전망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