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군 공통 우주부품 표준화로 국내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

2024-09-27     윤소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방위사업청, 우주항공청이 우주산업 표준 및 인증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우주기술 발전과 우주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민군 공통 우주산업 소자 및 부품에 대한 표준(KS) 및 인증체계 구축, 관련 사업 발굴과 인프라 구축, 국제표준화 활동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정부는 2021년부터 10년간 2,115억 원을 투입해 우주발사체와 인공위성 부품 국산화를 위한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발사체 분야 3개 과제와 위성 분야 13개 과제에 집중 투자하여 국산화율 97% 이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소형발사체 체계에 활용할 수 있는 '공통격벽 추진체 탱크', '에비오닉스 통합기술' 등의 개발도 지원하고 있다.

국산화된 우주 부품들은 우주발사체와 인공위성 개발, 소형발사체 개발, 우주탐사 미션,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방위산업과 항공우주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걸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한국의 우주산업 표준 및 인증체계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어 유럽의 European Cooperation for Space Standardization (ECSS)나 미국 NASA의 체계와 비교하면 경쟁력 면에서 다소 뒤처져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민관 협력을 통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과의 조화와 산업계 참여 촉진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박성택 산업부 제1차관은 "이번 협력이 우주산업 내 기업들의 중복 노력을 줄이고 부품의 호환성을 높여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국내 표준 협력을 국제표준화 활동으로 확대해 우리 우주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소형 위성 개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번 표준 및 인증체계 구축이 우주 부품의 신뢰성 확보와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민간 주도 우주산업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범국가적 우주 임무의 성공과 우주선진국으로서의 국제적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한국은 우주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자체 개발 능력을 확보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며 우주산업 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