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전지 공장 화재 계기, 정부 '재발방지 대책' 추진

2024-09-10     윤소리 기자

정부는 전지산업 전반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폭발·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지 공장화재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6월 24일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일차전지 제조공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화재를 계기로 추진되었다. 화재로 인해 23명이 사망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공장 시설이 전소되는 등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는 리튬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이 지목되고 있으며, 안전 시스템 미비와 위험물질 관리 소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피해를 키운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전지 공장 화재 재발방지 대책 TF'를 구성하고, 올 7월부터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TF는 전지 공장 화재의 실질적 감축과 인적·물적 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총 4대 분야, 37개의 개선 과제를 확정했다. 주요 분야는 전지 제품 및 공장 관리 기준 강화, 전지 제품의 안전성 제고 및 기술 개발, 화재 대피 및 대응 체계 강화, 전지 공장 등의 안전 교육 및 관리 강화 등이다.

한편 정부는 리튬 전지를 '특수가연물'로 지정하고 제품 적재·보관 기준을 강화하고, 내화구조와 방연 재료 사용 등을 규정하는 등 관리 기준을 마련했다. 또한, 화재 위험성이 높은 전지 제품에 대해 새로운 안전기술을 도입하고, 소방 관계 법령을 전지 공장에 적용하는 기준을 개선하여 위험물질의 공정안전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근로자 보호를 위한 조치로는 화재 발생 시 근로자 행동요령을 제작·배포하고, 비상구와 통로 설치 및 운영 가이드를 제공해 대피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모든 근로자에 대한 안전 교육을 강화하고, 금속화재 표준대응절차(SOP)를 반영한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등 소방관 및 근로자 교육도 내실화할 예정이다. 고위험 사업장과 군용 전지 취급 업체에 대한 점검과 관리도 강화하며, 폐전지 관리 체계도 개선할 방침이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에 마련한 대책이 조속히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이행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며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을 강조했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