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안전 기술, 중소기업 적용 방안과 해결 과제

2024-09-09     윤소리 기자

스마트안전 기술의 도입은 산업 현장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영상 분석 솔루션과 데이터 기반의 안전 관리를 통해 고위험 작업장의 위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예측 가능한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안전 교육과 플랫폼 노동자 보호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국은 선진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바탕으로 위험 모니터링과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포괄적인 산재 예방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스마트안전 기술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금 부족, 인력과 기술 전문성의 부족 등은 중소기업들이 첨단 기술을 채택하는 데 큰 장벽이 된다. 또한 기술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기술적 오류, 디지털 역량 격차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예를 들어, 디지털 기술에 대한 노동자들의 이해도 차이는 실제 현장에서의 기술 활용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전반적인 안전관리의 효율성을 저하할 수 있다.

더불어 비용 부담은 중소기업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며, 이는 스마트안전 기술이 산업 전반에 도입되는 속도를 늦추는 요인 중 하나다. 중소기업이 스마트안전 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하려면 노사정 간의 협력과 국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정부 차원의 자금 지원과 함께 체계적인 제도 설계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스마트안전 기술을 보다 쉽게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스마트안전 기술은 산업 현장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지만, 기술 도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 분석과 사회적 합의를 통한 노동자 참여 보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기술 발전에 맞춰 스마트안전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