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장 속 고장 충전기 관리 문제 여전

2024-08-16     윤소리 기자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급속한 확장에도 불구하고 고장 충전기 방치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에 대응해 충전기 작동 현황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불편민원신고센터를 운영하며, 고장 신고 시 평균 3일 이내에 수리 조치를 완료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고장 충전기를 방치하거나 수리 조치가 미흡한 사업자에 대해서는 보조금 환수나 사업 참여 제한 등의 제재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충전기 관리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전국의 전기차 충전기 수와 고장 빈도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충전 인프라 확대에 따라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완속충전기와 급속충전기의 고장률 차이, 지역별 충전기 관리 현황 등에 대한 세부적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전문가들은 충전기 유지보수 체계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한 전문가는 "현재의 관리 시스템으로는 급증하는 충전기 수요를 따라가기 어렵다"며 "더욱 효율적이고 신속한 유지보수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전기 제조업체 관계자들도 제품의 내구성 향상과 함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실제로 고장 충전기로 인한 불편 사례는 적지 않다. 한 전기차 사용자는 "장거리 여행 중 목적지 근처 충전소에 도착했는데 모든 충전기가 고장 나 있어 난감했다"고 토로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는 충전기 QR코드를 통한 간편한 고장 신고 시스템을 도입했지만, 신고 후 실제 수리까지의 과정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여전히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적으로 볼 때, 한국의 충전기 관리 정책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는 충전 사업자에 대한 엄격한 서비스 수준 협약(SLA)을 통해 고장 충전기의 신속한 수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충전기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구축해 운영 중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현행 정책의 한계를 지적하며 개선안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제안으로는 충전기 관리 의무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충전 사업자 평가 제도 도입 등이 있다. 또한 충전 기술의 발전에 따른 관리 방안의 변화도 예상된다. 무선 충전, 배터리 교환 등 새로운 충전 방식의 도입에 맞춰 관리 체계도 함께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환경부는 충전기 고장 신고부터 수리까지의 과정 안내 절차를 제공하고 있지만, 전국 충전기 현황 및 고장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 등 더욱 상세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전기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충전 인프라의 확충과 함께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윤소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