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워라밸 중시하며 소통형 리더십 선호
MZ세대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 기업을 선호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월급과 정년보장보다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인식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됐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20~30대 8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 중 36.6%가 워라밸 보장 기업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두 번째로 선호하는 기업은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으로 29.6%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10.4%), 기업 문화가 수평적이고 소통이 잘 되는 기업(3.8%),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기업(3.3%)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또한 MZ세대는 소통형 리더십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통형 리더십은 직원과 함께 고민하고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십을 뜻하는데, 77.9%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반면 카리스마형 리더십(13.9%)과 위임형 리더십(8.2%)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MZ세대들은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순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MZ세대와 적극적인 소통 행보를 보이는 젊은 경영자들에 대해서는 70.2%의 응답자가 긍정적 평가를 내리는 반면, 부정적 평가는 7.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MZ세대와 소통하는 젊은 경영자들의 활동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MZ세대들은 기업의 전통적인 역할뿐 아니라 구성원 간 소통을 중시한다”며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